목이 칼칼할 때, 생강차 효능과 만드는 방법
생강과 생강차
생강은 김치 담을 때 양념 재료로 사용되는 뿌리채소이다. 은근히 매운맛과 자극성 있는 향기가 있어 김치뿐만 아니라 요리할 때 비린내를 없애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생선이 비린내, 돼지고기와 오리고기 등의 누린내를 없애는 데 효과적이다. 생강은 다른 채소와 달리 높은 온도에서 잘 자라는 편이고, 수분이 부족한 건조한 밭에서는 재배가 어렵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말려 약재로 사용했다.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구토, 두통, 가래 등을 치료했으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 설사에도 효과가 있어 생강을 달여 생강차를 마셨다고 한다. 또한 생강 껍질을 벗겨 끓인 후 시럽이나 설탕에 절여 생강청을 만들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XYtpT/btqSKNgxnmB/tjH4NQHjLr0oyRKIufbel0/img.jpg)
세계에서 사랑받는 향신료 생강
중세시대에 많이 즐겨먹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생강을 갈아 만든 가루를 만들어 사용했다. 16세기 왕궁의 요리사는 각종 수프에 생강가루를 넣어 향을 냈다고 한다. 유럽에서 생강은 사탕, 잼, 케이크 등을 만들 때 사용했으며 음료의 향을 낼 때도 사용했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쿠르부이용이나 마리네이드 절임액과 수프에도 생강을 많이 사용했다. 생강은 생선요리의 비린맛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는 양념이다. 심지어 요리와 요리 사이에 생강을 씹어 먹기도 한다.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는 쌀밥, 고기 요리, 채소 퓌레 등에 생강을 넣어 향을 냈으며, 카레에 넣어 맛을 돋우거나 생강차로 우려 마셨다. 동남아 전역에서 설탕에 절인 생강인 편강은 가장 많이 먹은 간식이다.
생강차의 효능 4가지
1. 감기 증상 완화
2. 소화력 향상
3. 멀미 예방
4. 근육통 완화
생강 특유의 매운맛을 내는 진저롤, 쇼가올은 혈액순환을 돕는다. 추운 겨울 차가워진 몸을 따듯하게 데우는 작용을 한다. 몸이 차가워지게 되면 소화불량,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생강에 함유된 디아스타제 성분이 위산과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에 소화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생강의 매운 성분은 진저론이 땀을 내게 하고, 생강 냄새가 나게 하는 성분인 진저롤, 진저 베렌 은 염증과 가래를 없애주며 몸에 열이 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감기 증상 완화하는데 좋다.
멀미가 나는 이유는 몸이 배나 자동차는 움직이고 있는데 사람의 몸은 움직이고 있지 않기 때문에 뇌가 혼란스러워해서 생기는 현상이다. 이런 멀미를 예방할 때도 생강차 한잔이 도움이 된다. 연구에 따르면, 멀미약을 복용한 사람보다 생강차를 마신 사람의 멀미 진정효과가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생강은 항염증과 항균성 기능이 있어 오래전부터 속을 편안하게 만드는 약으로 사용되었다. 생강에는 소화효소가 들어 있어 위장을 보호해주고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춰주는 효능이 있다. 또한 과격한 운동을 한 후에도 생강차를 마시면 통증이 완화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매일 3g을 먹은 운동선수들은 먹지 않은 운동선수들에 비해 근육통을 훨씬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강차의 부작용
모든 사람에게 생강차가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기보다는 소량의 생강차를 꾸준히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치질이나 십이지장궤양 등의 질환이 있는 사람은 생강차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혈관이 확장되면서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으며, 위가 약한 사람은 위액이 지나치게 분비돼 점막이 손상될 수 있으니 마시지 말아야 한다.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재료이기 때문에 열감기에 덜린 경우나 평소 열이 많은 사람의 경우에는 생강을 자주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https://blog.kakaocdn.net/dn/KU33Q/btqSLGg9jG4/PFb7aeW0vwM7vjytkzSETk/img.jpg)
생강차 만드는 방법
º (4인분 기준) 크고 내부가 하얀 생강 3개를 골라 껍질을 벗겨낸 후 얇게 썬다.
º 물 4컵(약 800ml)을 붓고 30분 정도 끓인 후 체에 생강을 걸러준다.
º 기호에 따라 대추, 레몬, 배 등과 함께 끓여서 먹으면 쓴맛을 완화할 수 있다.
º 믹서에 생강을 갈아 물에 넣어 끓여 주면 생강 맛을 빨리 우러나게 할 수 있다.
º 미리 끓여놓은 생강차를 따듯하게 데워 꿀 또는 레몬 등을 넣어 마신다.
º 직접 생강을 끓이기 번거롭다면 뜨거운 물에 생강즙이나 생강청을 뜨거운 물에 섞어 먹을 수도 있다.
'생활·건강 > 건강 식재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트러블 진정시켜주는 어성초 효능 5가지 (0) | 2021.01.09 |
---|---|
디톡스 식품, 노니 효능과 선택시 주의사항 (0) | 2021.01.08 |
사마귀 치료제 율무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1.01.06 |
천연 변비 치료제, 차전자피 효능 (0) | 2021.01.05 |
여자 아이돌 다이어트, 콜라비 효능 (0) | 2021.01.04 |